맨위로가기

이태용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태용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3, 4, 5, 6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2공화국에서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강원도 양구군과 평강군 군수를 역임했고, 해방 이후에는 상공부 수자원국장, 체신부 경리국장, 체신부 감리국장, 조선전업 상무이사를 거쳐 상공부 장관을 지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관료 부문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상공부 장관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상공부 장관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장면 내각의 국무위원 - 권중돈
    권중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당, 신민당 등 야당에서 활동하며 5선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 단양군 출신 - 박창식 (1959년)
    박창식은 SBS 프로덕션 상무,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감사 등을 지낸 방송인이자, 제19대 국회의원과 새누리당 당직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 단양군 출신 - 한정애
    한정애는 한국노총 출신으로 제19대부터 22대 국회의원을 지내며 국회에서 노동, 환경, 보건복지, 외교 분야의 활동을 했고 문재인 정부에서 환경부 장관을 역임하며 탄소 중립 정책을 추진했다.
이태용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출생일1909년 3월 16일
출생지대한제국 충청북도 단양
사망일1968년 4월 1일
사망지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원 (병사)
본관전주(全州)
정당무소속
학력
학사경성제국대학 법학과
주요 경력
관료체신부 경리국 국장
체신부 감리국 국장
조선전업 상무이사
정당자유당 당무위원
민주당 당무위원
민중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
민주당 당무위원 겸 중앙상임위원
신민당 당무위원 겸 대표상임고문
기타국방대학교 겸임교수
정무직 공무원
직책제14대 상공부 장관
임기1960년 8월 23일 ~ 1960년 9월 12일
대통령윤보선
국무총리장면 국무총리
차관김재곤 상공부 정무차관
진의종 상공부 사무차관
전임오정수
후임주요한

2. 생애



李泰鎔|이태용중국어전주를 본관으로 하며 호는 성선(成宣)이다. 충청북도 단양에서 출생하였으며 제천에서 성장하였다.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강원도 양구군평강군 군수를 지냈으며, 해방 이후 상공부 수자원국장, 체신부 경리국장 및 감리국장을 역임하였다. 조선전업 상무이사를 거쳐 제2공화국에서 상공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제3,4,5,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2. 1. 초기 생애 및 관료 경력

李泰鎔|이태용중국어전주를 본관으로 하며 호는 성선(成宣)이다. 충청북도 단양에서 출생하였으며 제천에서 성장하였다.

이후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강원도 양구군평강군 군수를 역임하였다.

2. 2. 해방 이후 활동

해방 이후 이태용은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하였다. 강원도 양구군평강군 군수를 지냈으며, 상공부 수자원국장, 체신부 경리국장 및 감리국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조선전업 상무이사를 거쳐 제2공화국에서 상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직위
강원도 양구군 군수
강원도 평강군 군수
상공부 수자원국장
체신부 경리국장
체신부 감리국장
조선전업 상무이사
상공부 장관


3. 평가

이태용은 일제강점기에 고위 관료를 지냈고, 해방 이후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특히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관료 부문에 선정되는 등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이 있다.

3. 1. 부정적 평가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관료 부문에 선정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54년총선자유당24,060표 (60.57%)1위당선초선
1958년총선민주당30,976표 (67.43%)1위당선재선
1960년총선민주당31,100표 (64.56%)1위당선3선
1963년총선민주당1,252,827표 (13.5%)전국구 11번당선4선, 승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